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창작 뮤지컬 작가 (대본, 극본, 가사) - 무대 위 세상을 창조하는 예술가

by 리겐 2025. 5. 5.

작가 관련사진

창작 뮤지컬의 가장 중요한 시작점은 바로 ‘글’입니다. 인물과 이야기, 대사, 음악이 어우러져 관객을 매료시키는 뮤지컬 작품은 작가의 펜끝에서 출발합니다. 창작 뮤지컬 작가는 대본(북), 가사(리릭), 대사, 무대 구성의 아이디어까지 창조하며, 연출가·작곡가·안무가와 긴밀하게 협력합니다. 이 글에서는 창작 뮤지컬 작가의 역할, 필요한 능력, 진출 방법과 현실적인 커리어까지 구체적으로 살펴봅니다. 그리고 이번 글에서는 국내 창작 뮤지컬을 이끌어온 대표 작가 5인과 그들의 대표작, 학력 및 커리어를 상세히 소개합니다.

1. 창작 뮤지컬 작가란 누구인가?

창작 뮤지컬 작가는 기존 작품을 번안하거나 각색하는 것이 아니라 전혀 새로운 스토리, 인물, 구조, 메시지를 만들어내는 사람입니다. 영화감독이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영화를 만들듯, 뮤지컬의 대본과 가사를 만드는 작가가 있어야만 공연은 존재할 수 있습니다.

  • 주요 역할: 줄거리 구성, 캐릭터 창조, 대사 및 노래 설계, 음악 협업
  • 실제 사례: <빨래>의 추민주 작가, <그날들>의 창작 스토리 구성

2. 어떤 역량이 필요할까?

뮤지컬 작가는 ‘글쓰기 능력’만으로는 부족합니다. 무대, 음악, 관객 심리를 모두 아우르는 예술적 감각이 필요합니다.

  • 희곡적 구성력: 연극처럼 장면 구성
  • 음악적 리듬감: 가사 운율과 곡의 구조 이해
  • 무대 이해력: 배우 동선 및 연출 상상력
  • 사회적 통찰: 메시지와 감동을 전달하는 능력

3. 진출 방법과 현실적인 커리어

  • 교육: 문창과, 극작과, 공연예술학과
  • 공모전 참여: CJ문화재단, 신시컴퍼니, 창작랩
  • 현실: 신인은 저소득 기반, 공연화 성공 시 수익 발생

4. 유명작가

1) 추민주 – 뮤지컬 《빨래》의 살아 있는 전설

  • 대표작: 《빨래》, 《여신님이 보고 계셔》
  • 학력: 서울예대 극작과
  • 이력: 극단 씨에스스쿼드 공동 설립자

2) 장유정 – 《그날들》의 감성적 이야기꾼

  • 대표작: 《그날들》, 《형제는 용감했다》
  • 학력: 고려대 국문과, 콜롬비아대 공연예술 석사
  • 이력: 영화 《김종욱 찾기》 감독

3) 이희준 – 역사적 무대를 무대로 끌어낸 서사 작가

  • 대표작: 《영웅》, 《아리랑》
  • 학력: 서울예대 극작과
  • 이력: 대형 창작극 주도

4) 한아름 – 감성과 정서를 중심에 두는 작가

  • 대표작: 《빈센트 반 고흐》, 《라 레볼뤼시옹》
  • 학력: 동국대 연극영화과, 런던 아트스쿨

5) 박해림 – 다문화, 사회적 메시지를 예술로 풀어내다

  • 대표작: 《모비딕》, 《파가니니》
  • 학력: 이화여대, 한예종 극작

결론: 이야기를 무대로 옮기는 창작의 정점, 작가

관객을 웃기고 울리는 뮤지컬 한 편은, 작가의 머릿속에서부터 시작됩니다. 창작 뮤지컬 작가는 상상력과 언어, 음악적 리듬을 바탕으로 세상에 없던 이야기를 무대로 탄생시킵니다. 현실은 쉽지 않지만, 성공했을 때의 보람과 예술적 영향력은 매우 큽니다. 만약 당신이 ‘글’로 세상을 표현하고 싶다면, 창작 뮤지컬 작가라는 길을 꼭 한 번 도전해보세요.

한국 창작 뮤지컬이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한 것은 2000년대 이후입니다. 이 시기를 전후해 수많은 작가들이 등장했고, 그들의 손끝에서 한국의 정서와 이야기, 삶을 담은 걸작들이 무대 위에 올랐습니다.
뮤지컬은 배우와 음악만으로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창작자의 언어와 상상력이 있어야만 관객이 몰입할 수 있는 무대가 완성됩니다. 국내 창작 뮤지컬 작가들은 한국적 감성과 이야기를 무대에 올리며 세계 시장으로 뻗어나가고 있습니다.